들어가며

프로젝트의 협업 및 버전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는 github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github에 올린 소스는 모두 공개되기 때문에 개인적인 또는 보안이 필요한 프로젝트에는 github와 비슷하지만 인증 된 사용자만이 소스를 열람할 수 있는 gitlab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gitlab을 설치 해 나만의 gitlab 서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환경

라즈베리파이2 (OS : Raspbian)


방법

1. 아래의 명령어로 gitlab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압축을 해제합니다.

wget https://s3-eu-west-1.amazonaws.com/downloads-packages/raspberry-pi/gitlab_7.9.0-omnibus.pi-1_armhf.deb
sudo dpkg -i gitlab_7.9.0-omnibus.pi-1_armhf.deb

2. 아래의 명령어로 gitlab을 설치 및 실행합니다.

sudo gitlab-ctl reconfigure

3. 설치 된 라즈베리파이로 접속해 gitlab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port: 80)

참고 및 주의사항

  • 로그인이 가능한 관리자 계정의 ID는 root, 초기 비밀번호는 5iveL!fe 입니다.
  • 프로젝트 생성시 실제 프로젝트의 주소가 아닌 http://raspberry.pi/user/project.git 같은 형식으로 나오는데 /etc/gitlab/gitlab.rbexternal_url을 라즈베리파이의 서버주소로 변경한 뒤 (ex: external_url="http://www.myserver.com or 123.123.123.123") 2번의 sudo gitlab-ctl reconfigure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프로젝트 주소가 출력됩니다.



들어가며

 

라즈베리파이의 용량확장을 위해 이동식디스크를 연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연결만 하면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윈도우즈와 달리 라즈베리파이는 이동식디스크를 마운트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이동식디스크를 마운트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환경

라즈베리파이2 (OS : Raspbian), USB메모리


방법

1. 라즈베리파이 본체에 이동식디스크를 연결합니다.

2. 아래의 명령어로 root 계정으로 전환합니다.

sudo -s

3. 아래의 명령어로 이동식디스크가 라즈베리파이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fdisk -l | grep sda

명령어 실행화면 :  

/dev/sda1에 FAT32방식, 16GB 용량의 이동식디스크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아래의 명령어로 이동식디스크를 마운트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합니다.

mkdir /mnt/usb

5. 아래의 명령어로 이동식디스크를 생성한 폴더(/mnt/usb)로 마운트합니다.

mount -t vfat /dev/sda1 /mnt/usb

만일 이동식디스크가 NTFS방식이라면 vfat부분을 ntfs로 수정합니다. (이동식디스크의 포맷방식은 2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nt/usb에 파일을 읽고 쓰는 것연결된 이동식디스크에 파읽을 읽고 쓰는 것과 같습니다.


6. 사용이 끝나면 아래의 명령어로 이동식디스크를 언마운트합니다.

umount /mnt/usb 

참고


+ Recent posts